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0

마켓팅 시장 세분화 마켓팅 시장 세분화 1. 마케팅 프로세스 아래 그림에서 보면 마케팅 핵심전략은 시장을 선정한 후, 그 시장을 대한 4P Mix를 기획하 는 작업이다. 여기서 시장을 선정하는 작업을 STP라고 한다. STP는 시장을 세분화하고 (Segmentation)하여 목표시장을 선정(Targeting)한 후, 해당 시장에 대해 차별화된 포지셔닝 을 하는 과정인데, 그 첫 번째 작업이 시장세분화이다. 오늘은 목표시장을 선정하기 위한 선행과정인 시장세분화에 대해 학습한다. 2. STP 과정 특정 신제품을 구입할 가능성이 있는 전체 시장(잠재시장)을 적절한 세분화 기준을 갖고 구 분한 다음, 각 세분시장의 매력도를 평가하여 최종 목표시장을 선정하게 된다. 이렇게 선정된 목표시장 고객층의 마음속에 해당 브랜드의 차별화된 이.. 2024. 1. 11.
마켓팅 : 소비 트렌드 분석 마켓팅 소비 트렌드 분석 1.소비자 트렌드 1)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요즘 기업의 입장에서 주목하고 있는 젊은 소비계층으로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있다. 이 두 계층은 2020년 시점에서, 아직 40대 이전의 연령대층이지만 조만간 주력 소비계층인 4050계 층으로 부상할 계층이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이들 젊은 층에 주목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럼 이 두 계층은 어떻게 정의될까? 출생연도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밀레니얼 세대는 1980년에서 2000년 사이에 출생한 계층이다. 이에 비해 Z세대는 1990년 중반이후에 출생한 세 대층이다. Z세대와 구분하기 위해 밀레니얼 세대를 1980년~1990년 초반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이 두세대는 디지털 세대로서 묶어서 함께 파악하기도 하지만 사실 두 계층.. 2024. 1. 10.
마켓팅기획 : 소비자 행동의 이해 마켓팅기획 : 소비자 행동의 이해 1. 마케팅 프로세스 소비자 행동 분석은 마케팅 핵심전략을 제대로 기획하고 실행하기 위한 중요한 선행 작업이다. 2. 소비자 행동의 유형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비자의 상품 구입과정에는 여러 가지 역할과 행동이 수반된 다. 상황에 따라서 제품 사용자와 제품 구입자가 서로 다를 수 있고, 제품 구입자가 아닌 다 른 가족구성원이, 제품구입자에게 구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입체적인 구입과 정을 이해함으로써 소비자 행동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3. 소비자행동 용어 : 제품관여도 제품관여도(Product Involvement)는 소비자가 특정 제품에 부여하는 중요성이나 관심도의 수 준이다. 이때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으면 정보탐색 시간이나 탐색 .. 2024. 1. 9.
마켓팅 환경 분석 (SWOT 분석) 마켓팅 환경 분석 (SWOT 분석) 1. 마케팅 프로세스 환경 분석은 아래에 제시된 마케팅 프로세스 상에서 제일 처음 수행하는 부분이다. 해당 제 품이나 브랜드를 둘러싼 주변 여건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내부여건과 비교하여 전략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 2. SWOT 분석의 구성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 분석은 특정 상품과 관련된 4가지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1장의 도식화된 내용을 작성한다. 환경 분석은 크게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으로 구분되는데 보통 내 부 환경 대신 내부여건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우선 외부환경 분석부터 작성한다. 해당 상품을 둘러싼 외부환경 요소들 중 크게 기회와 위협으로 다가올 주요 사안들을 파악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해당 전문가나 담당자와의 인터뷰도 시행한다. 여기서.. 2024. 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