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켓팅광고9

마켓팅 포지셔닝 및 STP 사례 분석 마켓팅 포지셔닝 1. 마케팅 프로세스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지셔닝은 마케팅 핵심전략 중 하나인 STP에 해당되는 활동이다. 이전 차시에서 세분시장을 평가하여 최종 타겟층을 선정하였다면 이제는 이 타겟층의 마음속에 특정한 우리 브랜드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포지셔닝을 하여야 한다. 2. STP 과정의 포지셔닝 포지셔닝에선 크게 2가지 과정을 수행한다. 첫째, 타겟층을 대상으로 한 간단한 고객조사를 통해 포지셔닝 맵을 작성한다. 그리고 전체적 인 지도상에서 우리 브랜드가 위치할 이상적이고 전략적인 지점을 선정한다. 둘째, 이상적인 지점에 해당되는 컨셉을 개발한다. 3. 포지셔닝 개념 포지셔닝(Positioning)은 무엇일까? 앞에서 선정한 목표층의 마음속에 (해당 브랜드에 대해) 기업이 의도하는 .. 2024. 1. 19.
마켓팅 타켓팅 마켓팅 타겟팅 1. 마켓팅 프로세스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겟팅은 마케팅 핵심전략의 하나인 STP에서 특정 목표시장을 선정하는 과정이다. 앞 차시에서 수행한 시장세분화를 바탕으로 적절한 기준에 의해 1개 내지 소수의 목표시장층을 선정하게 된다. 2. 타겟팅 방법 타겟팅은 아래의 STP 과정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단계이다. 세부 과정으로 구분하면 첫째, 표적시장(목표시장)을 선정하는 기준에 따라 전체 세분시장들 중에서 핵심 목표시장을 선정하 며, 둘째, 선정된 목표시장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으로 형성된다. 3. 표적시장 선정기준 세분시장을 평가하는 기준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된다. 시장 매력도, 경쟁 우위력, 회사 내부 적합도 등이다. 일반적으로 기업 컨설턴트들이 한 기업을 평가할 때, .. 2024. 1. 12.
마켓팅 : 소비 트렌드 분석 마켓팅 소비 트렌드 분석 1.소비자 트렌드 1)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요즘 기업의 입장에서 주목하고 있는 젊은 소비계층으로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있다. 이 두 계층은 2020년 시점에서, 아직 40대 이전의 연령대층이지만 조만간 주력 소비계층인 4050계 층으로 부상할 계층이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이들 젊은 층에 주목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럼 이 두 계층은 어떻게 정의될까? 출생연도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밀레니얼 세대는 1980년에서 2000년 사이에 출생한 계층이다. 이에 비해 Z세대는 1990년 중반이후에 출생한 세 대층이다. Z세대와 구분하기 위해 밀레니얼 세대를 1980년~1990년 초반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이 두세대는 디지털 세대로서 묶어서 함께 파악하기도 하지만 사실 두 계층.. 2024. 1. 10.
마켓팅기획 : 소비자 행동의 이해 마켓팅기획 : 소비자 행동의 이해 1. 마케팅 프로세스 소비자 행동 분석은 마케팅 핵심전략을 제대로 기획하고 실행하기 위한 중요한 선행 작업이다. 2. 소비자 행동의 유형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비자의 상품 구입과정에는 여러 가지 역할과 행동이 수반된 다. 상황에 따라서 제품 사용자와 제품 구입자가 서로 다를 수 있고, 제품 구입자가 아닌 다 른 가족구성원이, 제품구입자에게 구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입체적인 구입과 정을 이해함으로써 소비자 행동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3. 소비자행동 용어 : 제품관여도 제품관여도(Product Involvement)는 소비자가 특정 제품에 부여하는 중요성이나 관심도의 수 준이다. 이때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으면 정보탐색 시간이나 탐색 .. 2024. 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