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마존(Amazon) 사업의 전개 절차
아마존은 1994년 온라인 서점으로 시작하여 지속적인 사업 영역의 확장 및 과감한 투자 및 M&A로 인하여 세계 최대의 온라인 유통 기업으로 성장하여 ‘세계 1위 오픈 마켓’에 이르렀다. 하지만 아마존에는 국내의 오픈 마켓과는 다른 진입 장벽이 존재한다. 그 진입 장벽에는 영어라는 언어장벽, 물건 소싱 시 중국에서 구매 시 중국어 및 영어 소통 문제, 아마존의 거의 모든 절차와 메뉴얼이 영어로 이루어져 있어, 국내의 대부분의 판매자는 국내의 오픈마켓인 스마트스코어, 옥션, G마켓, 11번가, 쿠팡에 몰려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마존의 매출 및 성장 가능성 혹은 수익성은 국내 오픈 마켓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하다.
이런 아마존 온라인 사업에 대한 전제로 하여 거대한 북미, 유럽, 일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 사업자가 알아야 할 내용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판매자는 알고 싶은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리스팅을 클릭하여 필요한 내용으로 바로 들어 가서 학습하기를 바란다.
인터넷 유통 또한 제조, 유통, 무역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의 취득 없이는 사업하기가 쉽지는 않다.
아래 아마존 사업 리스팅을 보고 차근차근 배워 보도록 하자.
< 아마존 사업의 절차 및 주요 내용 >
구분 | NO | 할 일 | 주요 내용 | 일정 |
1.사전 준비 | 1.1 | 시장 조사 | ||
1.2 | ITEM 선정 | |||
1.3 | Hellium 10 사용법 | |||
1.4 | Jungle Scout | |||
1.5 | 사업자 등록 | |||
1.6 | 페이오니아 가입 | |||
1.7 | World first 가입 | |||
3.상품준비 | 3.1 | 상품 샘플 검토 | ||
3.2 | 대량 발주 | |||
2.아마존 | 2.1 | 아마존 판매 방식 | ||
2.2 | 아마존 가입 | |||
2.3 | 브랜드 등록 | |||
2.4 | 상품/회사로고 검토 | |||
2.5 | 상품 등록 | |||
2.6 | 제품 상세 리스팅 | |||
2.7 | Bar Code 면제 신청 | |||
2.8 | 제품 광고(PPC) | |||
2.9 | 제품 마켓팅 프로그램 | |||
2.10 | 재고(발주,입고절차) | |||
2.11 | 고객 반품 대응 | |||
2.12 | 고객 만족 | |||
3.기타 | 3.1 | Bar Code 종류 | ||
3.2 | Amazon 용어 정리 | |||
3.3 | FBA 및 FBM 차이 | |||
3.4 | KC 인증의 필요와 절차 | |||
3.5 | 무역 용어 정리 | |||
3.6 | INCOTERMS | |||
4.양식 | 4.1 | 원가검토 | ||
4.2 | 수익성 검토 | |||
4.3 | Sample 요청 template | |||
4.4 | 대량 오더 template |
반응형
'전자상거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직구 및 구매 대행 시 사용되는 개인통관 부호의 목적 및 발급 방법 (0) | 2023.10.16 |
---|---|
온라인 구매 대행 사업의 준비절차 및 준비 업무 (0) | 2023.10.12 |
2.6 코트라(KOTRA) IP-DESK 아마존(Amazon) 브랜드 등록 비용지원사업 진행 절차 (0) | 2023.10.05 |
3.6 2020년 인코텀즈(Incoterms) 주요 개정 내용 요약 (0) | 2023.10.03 |
3.2 아마존(Amazon) 용어 정의 (0) | 2023.10.03 |